본문 바로가기

금융상품 알아보기

좋은 펀드 고르는 법





좋은 펀드를 고르는 법은 어떤 펀드일까
?

펀드를 고를 때에는 수익률, 수수료, 자산 규모, 회전율 등을 고려하여 골라야 한다.

1) 수익률

수익률이 높은 펀드가 좋다. 하지만 높은 수익률을 내면서도 지속적으로 꾸준한 수익을 내고 있는지, 수익의 변동성이 크지 않은지 확인해봐야 한다. 지속적인 수익이 나지 않고, 수익의 변동성이 크다면 위험한 펀드이고, 펀드의 수익률과 내가 가져가는 수익률이 달라질 확률이 크다. 그래서 펀드를 고를 때에는 단기간의 수익률 보다는 장기간에 걸쳐 (1개월, 3개월, 6개월, 1, 3, 5) 꾸준한 수익률을 내고, 수익률의 표준편차나, 민감도(베타)의 변동성이 작은 펀드를 고르는 것이, 높은 수익을 추구하면서, 안전한 펀드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설정 이후 현재까지의 수익률 순위를 확인 할 수 있다. 3년간 꾸준히 수익률 상위 20% 안의 꾸준한 수익을 내고 있음.


  표준편차, 민감도는 이 펀드가 동일 유형의 펀드 대비 변동성의 정도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표준편차, 민감도가 클수록 변동의 폭이 크다. 결국 수익률의 변동성이 크다는 이야기이다.


2) 수수료.

수수료는 펀드를 판매, 관리 하는 비용과, 운용하는데 들어가는 운용비용을 말한다. 결국 같은 수익률을 내더라도 낮은 수수료의 펀드를 가입하게 되면 수익률이 올라가게 된다. 보통 연 2~3% 정도의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10년 장기 투자를 하게 되면 내 수익의 20~30%를 빼앗아가기 때문에, 낮은 수수료의 펀드를 고르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또한 투자기간과 조건에 따라서 선취, 후취 수수료 중에 유리한 것을 찾아 결정해야 한다.

 

수수료가 낮은 상품으로 상장지수 펀드(Exchange Traded Fund) 상품이 있다. 특정한 지수와 연동되는 수익률을 같도록 설계된 지수 연동 펀드 (Index fund)로서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되는 금융 파생상품이지만, 펀드투자의 효과와 동일하고, 상대적으로 수수료가 낮은 점이 매력적이다. 상장지수 펀드인 KODEX레버리지의 연 보수는 0.96%로 일반 펀드 대비 상당히 저렴하다.



3)
자산규모

 펀드의 자산 규모는 어느 정도 되야 좋을까? 펀드의 규모가 너무 크면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생기고, 너무 작으면 펀드 매니저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적정 규모의 펀드가입이 필요하다. 대략 순 자산이 최소 300억 이상인 펀드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 한다.

 

 

이 펀드의 자산규모는 약 6,500억원 이다. 1~12번은 하나의 펀드이고 단지 종류에 따라 수수료만 다르다.


4) 매매 회전율

  매매 회전율은 펀드 내에 얼마나 많이 매매가 이루어 졌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매매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펀드가 보유한 종목을 자주 바꾸었냐는 이야기가 되고, 결국 매매를 자주 한다는 것은 거래 수수료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수익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너무 낮은 매매 회전율을 가진 펀드는 펀드 매니저의 관심이 없어서 매매가 되지 않을 수도 있기에, 유사한 펀드와 매매 회전율을 비교해보고 판단하는 것이 좋다.

 

국내 설정 펀드 정보 http://www.funddoctor.co.kr/